본문 바로가기
아는대로

독감 예방접종 꼭 맞아야 할까?(+효과)

by haeahn2d 님의 블로그 2025. 8. 31.
반응형

가을과 겨울이 다가오면 많은 분들이 챙겨야 하는 건강 관리 중 하나가 바로 독감 예방접종인데요. 오늘은 독감 예방접종의 필요성과 접종 대상, 시기,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을 맞고 있는 모습
ㅗㄱ

독감이란 무엇일까?

독감(인플루엔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흔히 말하는 감기와는 달리 갑작스러운 고열, 근육통, 두통, 극심한 피로감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데요. 건강한 사람도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고통스럽지만, 어린이,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자에게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독감 예방접종의 필요성

독감 예방접종은 매년 맞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매 시즌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매년 새로운 백신이 개발되기 때문인데요.

예방접종의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독감 발병률을 크게 줄여줌
  •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가볍게 지나감
  • 입원율 및 합병증 발생률 감소
  • 고위험군의 사망률 예방
  • 집단 면역 효과로 가족과 이웃 보호

즉, 나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주변 사람들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예방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누가 꼭 맞아야 할까? (접종 권장 대상)

질병관리청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들을 우선 접종 대상자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생후 6개월 이상 ~ 만 13세 어린이
65세 이상 어르신
임산부
천식, 당뇨,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자
병원 종사자, 요양시설 근무자 등 다수와 접촉이 잦은 사람

이 외에도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가족 중 고위험군이 있는 경우라면 예방 차원에서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시기

독감은 보통 10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유행합니다. 특히 12월에서 2월 사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인데요.
예방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약 2주가 걸리므로 9월 말~11월 초 사이에 맞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너무 늦게 맞으면 소용없지 않을까?” 하고 걱정하는 분들도 있는데, 늦게라도 맞는 것이 아예 접종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독감 백신 종류

현재 독감 백신은 크게 3가 백신4가 백신으로 나뉩니다.

  • 3가 백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종 예방
  • 4가 백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4종 예방

최근에는 4가 백신이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예방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접종 시 주의사항

  • 접종 후 가벼운 발열이나 접종 부위 통증은 흔한 반응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접종 당일은 격한 운동이나 음주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고열, 호흡곤란, 발진 등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합니다.
  • 계란 알레르기가 심한 분은 반드시 사전에 의료진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무료 접종 대상자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에서 일부 대상자에게 무료 독감 예방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생후 6개월 ~ 만 13세 어린이
  • 임산부
  • 65세 이상 어르신

해당되는 분들은 가까운 보건소나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접종을 받을 수 있으니 꼭 챙겨두세요.

독감 예방 생활수칙

예방접종과 함께 아래와 같은 생활습관을 지키면 독감 예방에 더욱 효과적입니다.

  • 손 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 실내 환기 자주 하기
  •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
  • 충분한 수면으로 면역력 유지

독감은 단순한 감기가 아니라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독감 예방접종은 나 자신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점을 잊지 마세요.

다가오는 독감 유행철, 접종 시기를 놓치지 말고 건강한 겨울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