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는대로

틀리기 쉬운 순우리말

by haeahn2d 님의 블로그 2025. 3. 12.
반응형

 

한국어는 아름다운 순우리말이 많지만, 일상에서 잘못 사용하거나 혼동하기 쉬운 표현들이 많습니다. 특히 비슷한 발음이나 의미를 가진 단어들은 자칫 잘못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표현을 익혀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순우리말에서 자주 틀리는 표현을 정리하고,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립니다.

 

순우리말

1. 자주 틀리는 순우리말 표현

1) ‘가엾다’ vs. ‘가엽다’

  • 올바른 표현: ‘가엾다’
  • 잘못된 표현: ‘가엽다’
  • 설명: ‘가엾다’가 원래의 형태이며, ‘가엽다’는 ‘가엾다’가 구어에서 변형된 형태입니다. 공식 문서나 글에서는 ‘가엾다’를 사용해야 합니다.

2) ‘날아가다’ vs. ‘날라가다’

  • 올바른 표현: ‘날아가다’
  • 잘못된 표현: ‘날라가다’
  • 설명: ‘날다’에 연결되는 활용형은 ‘날아가다’가 맞습니다. ‘날라가다’는 비표준어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돋우다’ vs. ‘돋구다’

  • 올바른 표현: ‘돋우다’
  • 잘못된 표현: ‘돋구다’
  • 설명: ‘기운을 돋우다’, ‘입맛을 돋우다’처럼 ‘어떤 상태를 더 높아지거나 강해지게 만들다’는 의미에서는 ‘돋우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4) ‘들리다’ vs. ‘들르다’

  • 올바른 표현: ‘들르다’
  • 잘못된 표현: ‘들리다’ (방문 의미로 사용할 때)
  • 설명: ‘들르다’는 ‘어떤 곳에 잠깐 들리다’라는 의미이고, ‘들리다’는 ‘소리가 들리다’처럼 청각적 의미를 가집니다.

2. 헷갈리기 쉬운 순우리말 단어 비교

1) ‘마치다’ vs. ‘맞추다’

  • ‘마치다’: 어떤 일을 끝내다.
    • 예) “숙제를 마치다.”
  • ‘맞추다’: 비교하여 확인하다.
    • 예) “정답을 맞추다.”

2) ‘배다’ vs. ‘베다’

  • ‘배다’: 스며들다, 익숙해지다.
    • 예) “땀이 배다.”
  • ‘베다’: 자르거나 눕다.
    • 예) “칼에 손을 베다.”

3) ‘짓다’ vs. ‘짓이다’

  • ‘짓다’: 만들거나 구성하다.
    • 예) “밥을 짓다.”
  • ‘짓이다’: 반죽처럼 개거나 섞다.
    • 예) “밀가루를 물에 짓이었다.”

3. 올바른 띄어쓰기와 표현법

1) ‘이따가’ vs. ‘있다가’

  • ‘이따가’: 조금 뒤에.
    • 예) “이따가 보자.”
  • ‘있다가’: 특정 장소에 머무르는 것.
    • 예) “잠시 있다가 가자.”

2) ‘안 된다’ vs. ‘안된다’

  • ‘안 된다’: 부정 표현 (되다의 부정형)
    • 예) “이런 행동은 안 된다.”
  • ‘안된다’: 한 단어로 쓰이면 비표준어
    • 잘못된 예) “공부를 안된다.”

3) ‘너무’ vs. ‘매우’

  • ‘너무’: 부정적인 의미에서 사용.
    • 예) “너무 힘들다.”
  • ‘매우’: 긍정적인 의미에도 사용 가능.
    • 예) “매우 좋다.”

4. 혼동하기 쉬운 순우리말 속담

1)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 잘못된 표현: “가는 말이 예뻐야 오는 말이 예쁘다.”
  • 설명: 원래 표현은 ‘고와야’이며, ‘예뻐야’는 잘못된 변형입니다.

2)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 잘못된 표현: “낫을 보고 기역 자도 모른다.”
  • 설명: 원래 표현은 ‘낫 놓고’이며, ‘낫을 보고’는 비표준 표현입니다.

5. 순우리말 올바르게 사용하기

1) ‘무시하다’ 대신 ‘깔보다’

  • 순우리말 ‘깔보다’는 ‘무시하다’와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서두르다’ 대신 ‘허둥지둥하다’

  • ‘허둥지둥하다’는 급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더 생동감 있게 표현합니다.

3) ‘우울하다’ 대신 ‘울적하다’

  • ‘울적하다’는 기분이 가라앉고 우울한 상태를 의미하는 순우리말입니다.

 

한국어는 섬세한 의미 차이를 가진 순우리말이 많기 때문에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일상에서 자주 틀리는 표현을 정확하게 익혀두면 더 자연스럽고 바른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